웹서버(또는 홈서버)를 가정에서 운영하기 위해서는 특정 서비스 포트를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을 변경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참고로 사용 중인 인터넷 회선에서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포트를 차단한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 웹서버(또는 홈서버)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포트 번호
서비스 | 포트번호 | 비고 |
FTP | 21 (TCP) | FTP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
SMTP | 25 (TCP) | 메임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
POP3 | 110 (TCP) | 메일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
DNS | 53 (TCP) | 네임서버(DNS)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
DNS | 53 (UDP) | 네임서버(DNS)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
HTTP | 80 (TCP) | 웹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
Network Drive | 137 (TCP) | 공유폴더, 프린터 서버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
Network Drive | 138 (UDP) | 공유폴더, 프린터 서버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
Network Drive | 139 (TCP) | 공유폴더, 프린터 서버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
Remote Desktop | 3389 (TCP) | 원격 데스크톱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
SSH | 22 (TCP) | SSH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 |
Telenet | 23 (TCP) | 텔넷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 |
공유기를 사용중이라면 공유기에서도 해당 포트를 열어주세요!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다면 공유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메뉴얼을 참고해 사용하려는 포트 번호를 포트 포워드에 등록해야지만 외부에서 내 웹서버(홈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의 DMZ 기능을 사용해 호스트 장치의 모든 포트를 쉽고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지만, 보안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귀찮더라도 포트 포워드에 사용하려는 포트 번호를 등록해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사용가능한 포트 확인하기
012
'유용한 정보<컴퓨터> > 홈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으로 내 서버를 모니터링한다! 업타임즈 (Uptimez) (1) | 2009.12.23 |
---|---|
홈서버 최적화 방법 (0) | 2009.05.29 |
ModSeucirty 설치방법 (1) | 2009.05.05 |
APMSETUP용 서버 시작,중지,재시작 배치파일 (2) | 2009.03.28 |
홈서버 구축방법 (12) | 2009.03.12 |
네트워크 드라이브 자동연결 배치파일 (2) | 2009.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