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정보<컴퓨터>/홈서버 80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967 설치방법

* 이 포스트는 2016년 07월 20일 본문의 내용이 추가/수정/삭제되었습니다. 지난 04월 30일 Synology(시놀로지)에서 배포한 DSM 5.2 5967 업데이트는 여러 버그와 보안 취약점을 개선해 안정적인 NAS(Network Access Storage) 운용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참고로, 금번 실시된 5967 업데이트는 Xpenology(헤놀로지)에 적용 시 한가지 기능을 정상적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Xpenology(헤놀로지)에 적용 시 발생하는 문제점 Xpenology(헤놀로지)에 새로운 5967 업데이트를 적용하면 [제어판→하드웨어 전원]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전에 변경한 설정값은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업데이트 이후 전원예약, HDD 대기 기능, UPS 설정을..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8 설치방법

지난 04월 13일 Synology(시놀로지)에서 배포한 DSM 5.2 5644 Update8은 삼바 파일 서비스의 보안 취약점(CVE-2016-2118) 문제를 수정해 안정적인 NAS(Network Access Storage) 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참고로, 이번에 실시된 5644 Update8은 Xpenology(헤놀로지) 사용자도 아무 문제 없이 적용 가능합니다. DSM 5.2 5644 Update8 변화사항 1. Fixed a security vulnerability regarding Samba file service (CVE-2016-2118, also known as Badlock). Note: This update does not require system reboot. 상단 회색 박스에 ..

Xpenology(헤놀로지) WebDAV 기능 사용방법

* 이 포스트는 필자가 사용 중인 Xpenology(헤놀로지)(새창)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Synology(시놀로지), Xpenology(헤놀로지)의 WebDAV 기능은 여러 개의 공유 폴더를 외부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웹 폴더)로 마운트해 저장된 파일을 편집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그러나, Windows 운영체제는 보안 문제로 인해 특정 레지스트리를 변경해야만 WebDAV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WebDAV 기능이란? WebDAV 기능은 Windows 탐색기, Mac OS 파인더, Linux 파일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원격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편집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특히, 외부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웹 폴더)를 사용하는 것과 같..

Xpenology(헤놀로지) 업로드 전용 폴더&계정 만드는 방법

* 이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방법은 DSM 5.2-5644 Update5를 기준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DiskStation Manager(DSM)은 파일 업로드만 할 수 있는 폴더와 계정을 만들어 원하지 않는 사용자가 업로드 폴더에 저장된 파일에 액세스하거나 변조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방법은 업로드 전용 계정 및 폴더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공개하고 사용할 때 더욱 유용합니다. 업로드 전용 공유 폴더 만들기 제어판 내 공유 폴더 메뉴에서 업로드 전용 폴더로 사용할 새 공유 폴더를 생성한 후 [고급] 탭으로 이동해 기호에 따라 고급 설정 옵션을 사용자 필요에 맞게 활성화합니다. 참고로, 목록은 표시하지만, 다운로드만 차단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기존 파일 수정 비활성화, 파일 다운..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5 설치방법

* 이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내용은 Xpenology(해놀로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지난 02월 19일 Synology(시놀로지)에서 배포한 DSM 5.2 5644 Update5는 스택 기반 버퍼 오버플로우(Stack-based buffer overflow)에 의한 보안 취약점을 개선해 안정적인 NAS(Network Access Storage) 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참고로, 금번 실시된 5644 Update5는 Xpenology(헤놀로지) 사용자도 아무 문제 없이 적용 가능합니다. DSM 5.2 5644 Update5 변화사항 1.Updated Firewall filter policy to fix a security vulnerability caused by stack-based buffer o..

Xpenology(헤놀로지) DSM 5.2 5644 Update3 설치방법

* 이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내용은 Xpenology(해놀로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지난 01월 22일 Synology(시놀로지)에서 배포한 DSM 5.2 5644 Update3는 여러 보안 취약점과 개선해 안정적인 NAS(Network Access Storage) 운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참고로, 금번 실시된 5644 Update3는 Xpenology(해놀로지) 사용자도 아무 문제 없이 적용 가능합니다. DSM 5.2 5644 Update3 변화사항 1.Fixed two security vulnerabilities of FFmpeg modules (CVE-2016-1897 and CVE-2016-1898). 2.Fixed a security vulnerability related to Linux ..

Xpenology(헤놀로지) 사용기

Xpenology(헤놀로지)는 손쉬운 방법으로 Synology(시놀로지)의 DSM(DiskStation Manager)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필자가 Xpenology(헤놀로지)를 한 달간 사용하며 느낀 점과 NAS PC를 제작할 때 여러분이 알고 있으면 좋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편리한 사용자 환경은 매우 만족스럽지만 필자가 일반 PC를 NAS로 사용하기 위해 NAS4Free, FreeNAS 등의 NAS 운영체제를 직접 설치하여 사용해봤지만, DSM(DiskStation Manager)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확장성을 제공하는 NAS 운영체제는 찾지 못하였을 만큼 만족도가 높습니다. 그러나, Synology(시놀로지)에서 판매한 NAS가 아니기 때문에 자동..

Xpenology(헤놀로지) DLNA 사용하는 방법

DLNA 기능을 지원하는 Synology(시놀로지), Xpenology(헤놀로지) 장치에 저장된 홈비디오, 동영상, TV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DLNA 기능을 지원하는 대형 디스플레이로 손쉽게 재생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는 DLNA 기능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을 소개하고 있는 글입니다. DLNA 기능이란? DLNA는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의 약자로서 PC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블루투스, 와이파이, 이더넷과 같은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해 DLNA를 지원하는 대형 디스플레이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DLNA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NetFront Life Korea님이 게시한 글(새창)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Synology의 DLNA 기능 사..

Xpenology(헤놀로지) 전원관리 이용하여 절전하기

필자가 개인용도로 사용 중인 Xpenology(헤놀로지)는 저전력 PC가 아니기 때문에 누진세 예방 차원에서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예:01~07시)에는 자동으로 시스템을 종료하고, 출근 시간대(예:07시)에 자동으로 시스템이 켜지도록 설정하였습니다. 이 글은 누진세가 걱정되는 사용자에게 도움을 드리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DSM의 전원 예약&HDD 대기 기능 사용하기 DSM →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전원으로 이동한 후 [전원예약] 탭으로 이동한 후, [생성] 버튼을 클릭해 시스템 시작과 종료를 예약한 후 [HDD 대기 기능] 탭으로 이동한 후 '내장 하드디스크와 외장 SATA 디스크는 설정된 시간 동안 작업이 없을 경우 최대 절전 모드로 설정됩니다.'와 'USB 하드 디스크는 설정된 시간 동안 작업이..

Xpenology(헤놀로지) DDNS 서비스 사용하는 방법

* 이 포스트는 DNSZi(새창)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으나 다른 DNS 업체도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Xpenology(헤놀로지)와 Synology(시놀로지) 장치에서 개인 도메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DNS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지만 DSM이 국내 DDNS 서비스 업체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번거롭더라도 DSM 작업 스케줄러와 스크립트를 이용해 DDNS 서비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DNSZi 서비스 등록&인증키 생성 DNSZi 홈페이지 DNSZi 홈페이지(새창)에 회원가입 및 도메인을 등록한 후 호스트IP 관리(A레코드)를 눌러 사용할 A레코드 / 아이피 주소 / 관리 메모를 입력한 후 DDNS 설정을 [O] 로 변경한 후 [IP 주소(A) 추가] 를 눌러 호스트IP(A레코드)를 추가한 후 ..